기사 메일전송
“2030년 탈핵·탈석탄·탈송전탑!”··· 368km 걸어 광화문 도착
  • 임신비
  • 등록 2025-05-16 20:46:08
  • 수정 2025-05-16 20:46:59

기사수정


▲ (사진제공 = 가톨릭기후행동)


2030년까지 탈핵, 탈석탄, 탈송전탑을 실현하고 정의로운 재생에너지 전환을 요구하는 ‘2030 탈핵·탈석탄·탈송전탑 희망 기후도보순례’가 21일간의 대장정을 마무리하며 15일 서울 광화문에 도착했다. 이날 종교계와 전국 환경단체 등 46개 단체로 구성된 순례단은 기자회견을 열고 “죽음의 문화를 거부하고 생명의 길을 선택하자”고 촉구했다.


이번 도보순례는 강원 삼척의 핵발전소 건설 반대 기념탑에서 출발해, 초고압 송전탑과 석탄화력발전소로 고통받는 동해, 강릉, 평창, 횡성, 홍천, 춘천, 가평 등을 거쳐 광화문까지 약 368km를 걷는 여정이었다.


광화문 기자회견에 앞서 가톨릭기후행동, 천주교남자수도회 장상연합회, 천주교여자수도회 장상연합회, 천주교더나은세상, 천주교창조보전연대, 천주교춘천교구가정생명환경위원회 등 종교단체들은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탈핵·탈석탄·탈송전탑 희망 미사’를 봉헌했다.


이날 미사 주례를 맡은 천주교 수원교구 생태환경위원장 양기석 신부는 "인간의 생명 돌봄 의무 외면이 물질적 풍요 속 고통과 위기를 심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핵발전소와 석탄화력발전소를 '죽음 문화'의 상징으로 규정하며 이를 고집하는 세력을 비판하고, 대전환이 시급함을 강조했다.


그는 우리 사회가 죽음의 유혹에서 벗어나 생명 문화를 선택해야 할 중대한 시점에 와 있음을 역설하며 다가오는 대통령 선거에서 후보들이 생명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기후 위기로 고통받는 이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새로운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 (사진제공 = 탈석탄탈송전탑국토도보순례단)


이어진 기자회견에서 순례단은, 대선 후보들에게 2030년까지 탈핵, 탈석탄, 탈송전탑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공약을 촉구했다. 이들은 ▲2030 탈핵법과 탈석탄법의 입법과 실행 ▲초고압 송전탑 추가 건설 금지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법 입법과 실행을 핵심 요구사항으로 제시했다. 순례단은 기후 위기가 "지구 생태 환경을 위협하는 근원적 위험"이며, "위험 자체인 핵발전소, 석탄발전소와 결별할 시간을 정하고 에너지 전환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재생 에너지로의 전환이 기술적으로 충분히 가능하며 "다만 정부의 의지가 문제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대선 후보들에게 전달한 '대선 공약 요구서'를 통해 더욱 구체적인 정책들을 제안했다. 여기에는 2030-35년 조기 탈석탄 시기 법안 명시, 탈석탄위원회 설치, 발전 노동자의 실질적 고용 유지와 지역 사회 지원을 포함하는 '정의로운 전환' 실현 방안이 포함되었다. 탈핵과 관련해서는 신규 핵발전소 건설 및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중단, 노후 원전 수명 연장 금지 등을 위한 법 마련을 요구했다. 초고압 송전탑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에너지 수요 감축과 분산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요구서에는 한국 정부가 2025년까지 유엔에 제출해야 할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의 '진전의 원칙' 준수와 탄소 예산 고려의 필요성, 헌법재판소의 탄소중립기본법에 대한 헌법불합치 결정에 따른 입법 과제 이행 촉구 등 법적, 국제적 의무사항에 대한 언급도 포함되었다. 또한 '정의로운 전환' 과정에서 노동자 고용 보장을 위한 기존 산업전환지원법의 한계를 지적하며, 탈탄소 전환 기획 및 산업 전환 과정에 국가와 공공기관의 공적 역할 강화 및 광범위한 당사자들의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요구했다.


▲ (사진제공 = 탈석탄탈송전탑국토도보순례단)


한편, 삼척부터 서울까지의 1차 순례를 마친 '2030 탈핵·탈석탄·탈송전탑 희망 기후도보순례단'은 5월 16일부터 28일까지 울산, 청주, 대전, 수원, 인천, 전주, 대구, 부산, 창원, 광주 등 전국 주요 대도시를 중심으로 순례를 이어가며 기후 정의와 정의로운 전환의 메시지를 확산하고 대선 후보들의 책임 있는 결단을 계속해서 촉구할 예정이다.



TAG
키워드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가스펠툰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