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 조계사 피신
  • 최진 기자
  • 등록 2015-11-18 18:20:15

기사수정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한상균 위원장 (사진출처=노동과세계 ⓒ 변백선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하 민주노총) 한상균 위원장이 조계사 측에 신변보호를 공식 요청했다. 민주노총은 한 위원장이 18일 오전 조계사 측에 신변보호 요청과 함께 현재 시국 문제에 대해 조계사 화쟁위원회에 중재를 요청했고 조계사 내부회의 결과를 확인하고 이후 필요한 대책과 입장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조계종 화쟁위원회에 “사전 양해 없이 조계사로 들어오게 된 점을 정중하게 사과드린다”며 “부처님의 가르침대로 사회적 약자, 비정규 문제 등 이 땅에서 가장 고통 받는 노동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어려운 조건에서도 늘 고통 받는 중생과 함께하시며 아픈 이들을 보듬어 오신 부처님의 넓으신 자비심으로 저희를 보듬어 주실 것을 간곡하게 요청드린다”고 밝혔다. 


조계종 화쟁위원회는 사회 현안과 갈등을 중재하고 불교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조계종이 구성한 기구다. 조계종 총본산인 조계사는 24시간 모든 사람에게 경내를 개방해 수배자들의 ‘마지막 은신처’로 여겨지고 있다. 조계종 화쟁위원회는 지금까지 4대강 사업, 광우병 파동, 철도 민영화 등에 개입해 화쟁의 방식으로 갈등을 중재해 왔다. 2008년에는 광우병 국민대책회의 간부 등을 경찰로부터 보호했으며, 2013년에도 철도노조 지도부의 피신처가 되었다. 


조계종 총무원과 조계사 측은 지난 17일 회의를 열어 한 위원장의 보호 요청 수용 여부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계종 일부에서는 조계사가 시국사건 수배자들의 도피처가 돼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조계사까지 명동성당처럼 노동자와 사회적 약자들을 내친다면 시민 투쟁 운동이 크게 위축될 것이라며 우려하고 있다. 


명동성당은 1970∼80년대에 ‘민주화의 성지’로 불리며 군사정권에 저항하던 이들의 도피처가 되었다. 1987년 6월 시민항쟁 때는 민주화를 부르짖으며 거리로 나선 학생과 시민들을 정부 권력으로부터 끝까지 보호하며 6·29 선언의 기반을 마련했다. 1974년 인혁당 사건으로 지학순 주교가 구속되자 천주교는 민주화운동에 전면으로 나섰고, 명동성당은 사회 민주화를 이끄는 장소가 됐었다.  


그러나 명동성당은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신자들의 불편을 이유로 천막 농성과 노동자 집회에 대해 퇴거를 명령하고 경찰에 시설보호 요청을 하는 등 노동자들과 사회적 약자들을 불편하게 여기기 시작했다. 명동성당은 1999년 지하철노조에 대해 성당이 일부 집단의 이익을 강변하는 자리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며 퇴거를 요구했다. 2001년에도 20여 일 동안 천막 농성을 벌이던 단병호 전 민주노총 위원장에게 퇴거요청 공문을 보내기도 했다. 특히 2009년에는 용산철거민 유족들을 거부하며 경찰에 시설보호 요청을 한 바 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가스펠툰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