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독서나눔-김혜경] 니체식 긍정, ‘아니오!’를 외쳐라
  • 김혜경
  • 등록 2016-04-06 12:31:57
  • 수정 2016-04-06 12:32:19

기사수정


연분홍 꽃잎이 화르르화르르 날리고, 부푼 흙을 헤치며 올라온 꽃다지며 냉이랑 쑥들이 지천인 봄. 눈부시게 아름다워 오히려 아릿해지는 4월. 살아있음이 생생하게 느껴지는 때여서 더 슬프고 미안해지는, 그런 4월의 봄날이다. 


살아있음은 말하자면, 어떤 에너지의 움직임이다. 이 에너지의 움직임은 실제로 만져지거나 눈에 보이는 게 다가 아니다. 예컨대 내 안에 담긴 기억이나 생각 같은 건, 만질 수도 없고 볼 수도 없지만 쉴 새 없이 움직인다. 분명 내 마음 내 정신일 텐데, 언제부터 이러고 있었지? 뒤늦게 알아채기도 한다. 한심한 건, 때로는 반드시 기억하고 절대 잊어서는 안 될 일을 잊기도 한다는 거다. 그럴 때면 내가 나에게 걸려 고꾸라진 느낌이 들기도 한다.


내가 나에게 휘둘리거나 나 때문에 내가 넘어지지 않으려면 어째야 할까 싶을 때 만난「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고병권이 안내하는 차라투스트라를 통해 꿈틀거리는 긍정의 에너지에서 힘을 얻는다. 그는 어렵다는 니체의 영원회귀와 권력의지, 위버멘쉬를 가볍지 않으면서도 쉬운 문체로 차근차근 친절하게 설명해준다. 


이번에 필이 꽂힌 건 ‘세 가지 변신’ 부분이다. 저자는 책의 말미에 소개하고 있지만,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는 이 이야기로 차라투스트라의 첫 가르침을 시작한다. 니체도 이 정신의 변신(변화)을 중요하게 여겼나보다.


“나는 그대들에게 정신의 세 가지 변화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어떻게 하여 정신이 낙타가 되고, 낙타는 사자가 되며, 사자는 마침내 아이가 되는가를.” 


정신이 낙타였다가 사자로, 다시 어린아이로 변하다니 이게 무슨 말인가. 낙타라는 동물은 굉장히 참을성이 많은 동물이다. 무거운 짐을 잔뜩 지고도 메마른 사막을 묵묵히 걷는다. 며칠 동안 오아시스를 만나지 못해도 상관없다. 고병권은 여기서 낙타의 무릎, 무릎의 굳은살을 주목하란다. 얼마나 많이 무릎을 꿇었는지 상상도 못할 거라면서 말이다.(p.286) 주인을 모시는 공경심과 깍듯한 예의, 강인한 인내심을 갖춘 낙타. 이런 정신이라면 견뎌내지 못할 게 없을 거다.


그러나 이 낙타의 마음은 어떨까. 주인의 영광을 위해 걸핏하면 꿇어앉아야 했던 낙타는 굳어진 살만큼이나 자신의 자존심에 여러 번 상처를 받았을 게다. 그렇지만 착한 낙타는 참고 또 참는다. 아니오라 말하지 못한다. 


왜일까? 착해서? 글쎄… 그건 착한 게 아니라 자기 삶을 고문하는 거란다. 삶은 원래 고통스런 거라 저 혼자 믿으며, 그게 진리인양 스스로의 삶을, 자기 세계 전체를 사막으로 만들고 있단다. 한가득 등짐을 짊어진 채, 자신의 사막에 스스로 포박 당한 정신. 이 가련한 정신이 용기를 낸다면, 다음 단계인 사자가 된다.


사자는 자유롭고 싶다. 남의 말을 듣고 싶지 않다. 더 이상 주인에게 무릎 따위 꿇지 않는다. 사막의 주인이 되고자 한다. 자유를 열망하는 정신은 자신을 지배하던 주인들을 물리친 후 마지막 남은 주인, 용으로 위장한 신과 마주친다. 용이 말한다. “너는 해야 한다.” 이거 어디서 많이 듣던 목소리다. 이건 이리 해야 하고 저건 저리 해야 하고. 정신을 좌지우지 하는 기존의 온갖 가치를 관장한다는 이의 준엄한 목소리다. 


이에 대해 사자가 대항하며 소리친다. “나는 하고 싶다. 누구의 명령도 원하지 않는다. 나는 자유를 원한다” 그러자 용이 다시 말한다. “모든 가치는 이미 창조되었다. 모든 창조된 가치, 그것이 바로 나다. 따라서 ‘나는 원한다’ 같은 말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이를 들은 사자가 머뭇거린다. 사자는 아직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무언가를 창조하려면 먼저 사자처럼 자유를 쟁취해야 한다. 어쩌면 낙타에게는 이런 사자가 불경스럽거나 뭔가를 잃어버린 듯 허전해 보일 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낙타처럼 가만히 있어서는 안 된다. 으르렁거리며 ‘아니오’라 외쳐야 한다. 꿋꿋하게 나아가야 한다. 구부린 무릎을 펴고 일어나 자유롭고 늠름하게 제 길을 가야한다. 멋지다. 사자의 정신! 


이 정도면 되었느냐고? 아니다. 이게 다가 아니다. 사자는 굴욕적인 삶에서 벗어나긴 했지만, 그 다음엔 무엇을 해야 할지 잘 모른다. 어렵게 찾은 자유를 어떻게 써야 할는지 잘 모르는 거다. 


드디어 세 번째 단계. 정신은 어린아이가 된다. 아이라고? 어떻게 용감무쌍한 사자도 잘 알지 못하는 일을 아이가 알 수 있을까? 차라투스트라가 부드럽게 미소 지으며 말한다. “아이는 순진무구함이며 망각이고, 새로운 출발, 놀이, 스스로 도는 수레바퀴, 최초의 움직임이며, 성스러운 긍정이다.” 


아이는 그저 자기가 하고 싶은 걸 하며 즐거워할 뿐이다. 도덕이나 법률 같은 잣대를 들이대도 천진난만하게 웃는다. 양심의 가책이랄 게 없다. 아이는 그러니까, 비도덕적 존재다. 악하다는 말이 아니라 도덕이란 걸 갖고 있지도, 도덕을 필요로 하지도 않는다는 말이다.(p.291) 아이는 낙타 같은 인내심이 있지도 않을뿐더러, 사자처럼 포효하지도 않는다. 그냥 웃는다. 용을 만나면 아마 신기해하며 장난감 삼았을지도 모른다. 그래서 사자에겐 힘든 싸움이었던 용과의 만남이 어린아이에게는 재미난 놀이가 된다. 어린아이는 하고 싶지 않은 건 관심이 없다. 자기가 원하는 걸 신나게 즐긴다. 스스로가 자신의 주인인 거다.


이거 참, 워낙 소심한데다 용기도 없는 나는, 내 삶의 기준을 ‘나’가 아니라 내 ‘밖’에 두고는 이리저리 눈치를 보면서 고분고분 살고 있었다. 무릎에 덕지덕지 굳은살 박힌 낙타처럼 말이다. 이런 내가 어떻게, 감히(?), 사자처럼 ‘아니오’를 외친단 말인가. 


그런데, 가만히 나를 들여다보면, 솔직히 그러고 싶다. 당당하게 내가 원하는 건 그게 아니다, 내 삶의 주인은 나다 밝히고 싶다. 그래? 정말로? 지독히 외로울 수도, 어쩌면 굶주릴 수도 있는데. 괜찮겠는가? 감당할 수 있겠는가? 그렇다면, 외치라 소리치라.


여기서 뭣보다 중요한 사실 한 가지. 실은 내안에 이미 어린아이가 있단다. 내안에는 아이만 있는 게 아니라 낙타도 있고 사자도 있다는 거다. 그래서 정작 필요한 건, 어린아이가 낙타와 사자 모두를 제압해야 한다는 거다. 제거가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니체의 ‘긍정’은 부정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네’와 ‘아니오’가 다 들어있는 ‘니체식 긍정’으로 끊임없이 새로운 가치들이 창조되고 무궁무진한 차이와 다양이 쏟아져 나오는 거다. 


그렇다면, 정말로 자유를, 까르르 웃는 아이의 정신을 꿈꾼다면, 우선은 끓어 앉은 무릎부터 툴툴 털고 일어서야겠지. 그리고 내안에 그득한 긍정의 에너지로 외쳐야 하리라. ‘아니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세 가지 변화에 대하여‘ p. 35, 프리드리히 니체, 장희창 옮김, 민음사

⑵ 같은 책, p.37

⑶ 같은 책, p.38



[필진정보]
김혜경 : 서강대학교를 졸업했다. 광주문화원 편집기자이다.
TAG
키워드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가스펠툰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