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김유철) ‘그곳에서 일어난 일’
  • 김유철
  • 등록 2018-12-04 11:35:36
  • 수정 2018-12-11 15:10:29

기사수정



12월 8일 『천주교 개혁연대』가 주최하는 “교회사업장의 개혁 – 대구대교구 사례를 중심으로” 토론회의 발제를 맡아 공중파 방송과 신문 그리고 교계언론 및 인터넷 언론에 비춰진 <대구대교구>에 관련한 일련의 일들을 언론 모니터링 하면서 묻고 싶은 질문들이 머릿속에서 쏟아졌다. “그곳에서 일어난 일을 혼자만 모른다는 말입니까?”(루카 24,18)


교회란 무엇인가?


교회가 무엇인지 묻는 말에 ‘교회론’으로 대답하면 백과사전 전집보다 더 많은 신학적 논제가 나오고 결국은 아무것도 남지 않겠지만, ‘교회란?’ 으로 세상이 묻는다면 그것은 어쩌면 막다른 골목일 수 있다. 그 골목 끝에서 만나는 것은 ‘예수님을 그리스도로 고백하고 그 분의 삶과 부활을 지금 여기서 이루거나 이루려는 사람들이 모여서 만든 단체’가 교회라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교회가 지금 어디 있는가?”라는 세상 사람들의 물음은 에덴동산에서 “너 어디 있느냐?” 고 아담을 찾던 하느님의 목소리거나(창세 3,9), 카인에게 “네 아우 아벨은 어디 있느냐?”고 묻던 그 목소리와 다를 바 없다. 하느님 앞에서 우리는 다시 기어들어가는 소리거나, 볼멘 목소리로 대답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명히 우리는 말하고 있다. “모릅니다. 제가 교회를 지키는 사람입니까?”(창세 4,9)라고.


자신들의 모습을 역사 속에서

어떻게 비추고 있는가?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에서 교회의 기원을 잡든, 제자들과의 만남을 기원으로 잡든 혹은 부활이거나 오순절 성령강림을 교회의 창립으로 삼든 교회의 역사는 대략 2000여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인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신앙의 대상으로 접한 것은 1784년을 시작점으로 잡고 있다. 한국천주교회는 230여년 안팎의 역사를 지닌 종교단체다. 


박해시대 오히려 전국으로 퍼진 천주교인과 함께 교회는 1831년 조선대목구 설립되었고 1911년 조선대목구에서 분리된 대구대교구는 2011년 100주년을 맞이했었다. 이후 1920년대에 원산대목구와 평양지목구, 1930년대에 춘천지목구, 광주지목구 등이 분리되고 1962년 한국 천주교회에 교계 제도가 설정되고 각 지역의 교구가 설립되었으니 한국천주교인의 신앙의 뿌리는 200여년이고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설립된 교구들은 50~60여년을 지역에서 한국사회를 만나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천주교회가 한국사회에 어떤 모습으로 비췄는지는 새삼 돌아봐야 할 일이기도 하다.


대구대교구가 2016년 이후 언론에서 집중 조명을 받은 희망원과 같은 복지시설과 대구가톨릭대학교와 같은 교육시설의 운영상 문제점들, 팔공산골프장과 같은 이해할 수 없는 교구의 소유물과 신성불가침의 사제인사권 등은 대구대교구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천주교회가 지닌-숨긴-민낯의 일부분 일 뿐이라고 하면 너무한 일이 될까?


▲ 대구대교구 관련하여 <대구MBC>가 보도한 목록. 2016년 20건, 2017년 40건, 2018년(11월30일까지) 34건.


신자, 성직자, 교구, 교계언론의

진면목


정체성은 고정화 되어 있거나 머물러 있는 존재가 아니라 자기가 맺고 있는 관계를 적극적으로 조직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정체성의 본질은 관계 속에서 생성되고 새롭게 탄생되는 것이며 창조적 실천이다. (신영복. 돌베개. 『담론』 198쪽 참조)


300년이 채 되지 않은 한국천주교회는 무엇을 위한 존재이고, 누구를 위한 단체인가? 사실 명확한 대답이 나와 있어야 할 이 질문 앞에 주저하거나, 입에 발린 대답이 허공을 떠돈다면 한국천주교회의 존재의 의미는 없는 것이다. 늘 새롭게 생성되어야 할 교회의 정체성은 박제화 되었거나 “착.하.게.살.자.”는 등 뒤에 새겨진 맹탕 구호로 존재할 뿐이다. 


예수님께서 그에게 이르셨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에게 말한다. 누구든지 위로부터 태어나지 않으면 하느님의 나라를 볼 수 없다.” 니코데모가 예수님께 말하였다. “이미 늙은 사람이 어떻게 또 태어날 수 있겠습니까? 어머니 배 속에 다시 들어갔다가 태어날 수야 없지 않습니까?” 예수님께서 대답하셨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에게 말한다. 누구든지 물과 성령으로 태어나지 않으면, 하느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다. 육에서 태어난 것은 육이고 영에서 태어난 것은 영이다. ‘너희는 위로부터 태어나야 한다.’고 내가 말하였다고 놀라지 마라.”(요한 3,3-7)


니코데모가 이해하지 못했던 ‘위로부터 태어난다’는 사실을 한국천주교회를 구성하는 신자, 성직자, 교구, 교계언론은 이해하고 있는 것일까? 그러기에 예수님이 이르는 말이다. “너는 이스라엘의 스승이면서 그런 것도 모르느냐?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에게 말한다. 우리는 우리가 아는 것을 말하고 본 것을 증언한다. 그러나 너희는 우리의 증언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내가 세상일을 말하여도 너희가 믿지 않는데, 하물며 하늘 일을 말하면 어찌 믿겠느냐?”(요한 3,10-12) 숯불이 얼굴에 쏟아진다.



다시 새겨들어야 하는 말들


“교회 내부 어른들의 생각이나 관행적 규제에 따라 지나치게 움츠리는 것은 아닌가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대구 희망원 사건은 일어날 수 있는 일입니다. 하지만 잘 조사하고 정리해서 새롭게 나가는 것이 중요한데 그것에 소홀한 것 같습니다. 회개하고 성찰하는 것이 행동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잘못했다 싶으면 일정 범위 안에서 공개하고 바로 잡으려고 해야 하는데 그것에 소홀하고 전전긍긍하는 것 같은 인상입니다. 그것이 교세 증가 둔화와 냉담교우 증가의 한 부분이 되리라고 봅니다. 또 이 문제는 교회가 사회적인 문제에 대해서 사람들 가슴에 닿도록 제때 대처를 못하는 것 같습니다.”

-2017년 4월 2일 가톨릭신문 창간90주년기념좌담 김지영 전 한국가톨릭언론인협의회 회장 


저는 성직주의 성향에 대한 싸움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합니다. 한국 교회도 예외 없이, 일부 성직자들이 성직주의 성향을 지닙니다. 이에 대하여 그리스도의 대리자께서 하신 권고를 실천합시다. 그분께서는 “성적 학대, 권력 남용, 양심을 저버린 행위가 발생한 모든 공동체에서 매우 공통적으로 보이는 현상”인 “교회 권위를 잘못된 방식으로 이해하는 것”을 질책하십니다. 성직주의가 바로 교회 권위를 잘못된 방식으로 이해하는 사례입니다. 성직주의는 “그리스도인의 특징을 무효화할 뿐만 아니라 성령께서 사람들의 마음에 심어 주신 세례의 은총을 축소시키고 평가절하하는” 시도입니다. 이어 교황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사제 스스로 또는 평신도들이 양산하는 성직주의는 교회의 몸 안에 분열을 초래하고, 오늘날 우리가 규탄하는 수많은 악을 지속시키고 부추기고 조장하는 것입니다. 학대에 대해 ‘아니요.’라고 말하는 것은 모든 형태의 성직주의에 대해 단호히 ‘아니요.’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2018년 10월 16일 주교회의 추계 정기총회 주한 교황대사 알프레드 슈에레브 대주교 


“저는 믿음 안에서 제 형제들의 힘을 북돋아 주어야 할 형제로서 여러분에게 말씀드립니다. 주의하십시오. 여러분의 교회는 번영하는 교회이고, 선교하는 훌륭한 교회이며, 커다란 교회이기 때문입니다. 악마가 가라지를 심지 못하도록 주의를 기울이십시오. 바로 교회의 예언자적 구조에서 가난한 이들을 제거하려는 유혹에 빠지지 마십시오. 부자들을 위한 부유한 교회, 잘나가는 교회 …… 그런 교회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번영의 신학’에 이르렀다고 말하지는 않겠습니다만, 그저 그런 안일한 교회는 되지 않도록 하십시오.”

-2014년 8월 14일 교황 프란시스코 한국방문. 주교들과 만남



[필진정보]
김유철 (스테파노) : 한국작가회의 시인, 경남민주언론시민연합 대표이며 천주교 마산교구 민족화해위원회 집행위원장이다. ‘삶·예술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시집 <천개의 바람> <그대였나요>, 포토포엠에세이 <그림자숨소리>, 연구서 <깨물지 못한 혀> <한 권으로 엮은 예수의 말씀> 등이 있다.
TAG
키워드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가스펠툰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