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 LA CROIX >의 4월 7일자 기사를 요약 번역한 것입니다. (원제 : 프란치스코 교황, < 리베르타 치빌리 >지와 인터뷰) - 편집자주
프란치스코 교황은 지난달 28일 이탈리아 내무부 공보인 < 리베르타 치빌리 >지와 이민 현상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가졌다. 이 인터뷰에서 교황은 이민자들을 위한 종교간 대화와, 이민자들에게 있어 가톨릭교회의 의미, 특히 교황청 신설 부서인 ‘온전한 인간 발전 촉진을 위한 부서’의 의미에 대해 설명했다. 또한 국제적인 시각에서 유럽 국가들 간의 정책적 공조를 언급하고, 이민 현상에 대한 정확한 파악을 위해 언론이 힘써야 함을 거듭 강조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지난해 그리스 레스보스를 순방하며 그리스 정교회 총주교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와 함께 기도한 사례를 언급하며, 이러한 종교간 대화는 ‘인류애와 긴밀한 연대 의식(proximity)의 공유’를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인류애의 공유는 결국 “어려움에 처한 형제자매를 외면하지 말라고 외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인간 존재를 보호하는 일에는 한계가 없으며 그 어떤 신앙의 차이로도 이러한 의지를 꺾을 수 없다.
“(지금은) 이민 정책 운영에 있어 유럽과 세계 여타 지역에 아주 중대한 순간”이라고 지적하며, “인간 기본권에 대한 각별한 존중과 강제 이주의 원인을 찾아 제거하는데 있어 장기적, 일관적 비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난 1월 1일 새로 발표된 온전한 인간 발전 촉진 부서 내에 ‘이민 및 피난’ 부를 신설하였으며 “이 부서를 교황 직속 보고 체계로 편입시켰다”고 밝히며 “주요 임무로는 주변 지역, 더 나아가 국제적 차원에서 이민 절차의 각 단계에서 이민자들을 돕는 교회와 사목자들을 지원하는 일”을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륙을 넘나드는 이민 현상에 대한 여러 국가들의 역할을 두고 프란치스코 교황은 “분명 국제적 협력의 필요성이 존재하며 이러한 이민 정책은 수용국 및 이민자 모두를 존중하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교황은 세계 2차 대전 이후 유럽인들 역시 이주를 갔던 역사를 되새기며, “유럽 국가들 역시 과거에서 교훈을 얻을 줄 알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화와 지식의 상호 교류는 그 자체가 보물이며 그 가치를 인정받아야 한다”고 말하며 이민자들의 수용국 문화 습득과 수용국의 이민자 문화 존중이라는 상호적 존중을 강조했다.
다양성을 무력화시키지 않는 일치가 가톨릭 정신
프란치스코 교황은 “통합은 동질화나 결합이 아닌 양방향 과정으로 이 과정은 본질적으로 타 문화에 대한 상호 존중에 기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통합은 “한 문화가 다른 문화를 뭉개버리는 문화적 흡수나, 서로 조화를 이루지 못 하고 분리된 형태인 ‘상호 격리’와는 다르다”고 설명했다.
교황은 “인종-문화적 다양성을 무력화시키지 않는 일치”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이것은 가톨릭 정신의 반영”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이민에 대한 언론의 보도 행태에 대한 비판이 이어졌다. “언론은 이민 현상의 원인을 지적하고 이민의 여러 측면을 소개해야 한다”고 말한 교황은 “언론이 이민자와 난민을 정의할 때 사용하는 용어를 보면, ‘불법 체류’와 ‘이민’을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잘못된 전제에서 출발하여 여론으로 하여금 부정적인 판단을 세우도록 부추기는 정보를 제공하는 언론들”을 비판했다.
이 뿐만 아니라 “범죄사건 소식은 좋은 소식보다 사람을 더 끌어모은다”라고 지적하며 “그러한 이유로 언론은 수많은 이민자들의 사회 통합 사례를 이야기하기 보다는 이민자와 관련된 일부 범죄 사건에 대해 더 많이 이야기하게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좋은 소식은 공포와 무관심의 벽을 무너트릴 수 있다”고 말하며 “(언론이) 타인에 대해 이야기하고 이들을 집에 맞이하면서 가장 인간적이고 긍정적인 측면에서 바라볼 때, 타인에 대한 인식은 고정관념을 뛰어넘어 진실한 모습을 찾게 되는 것”이라고 언론 보도의 방향성에 대해 언급했다.
결국 이민자들에 대해 정확히 알고 이들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국가, 체제, 시민들에서부터 이민자들에 이르기까지 대화 능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이민 위기를 경제, 안보 위기인 것처럼 제어하는데 그쳐서는 안 된다. 이는 결국 문화적 차원의 문제인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