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칼럼-지요하] 군복에 세월호 배지 달고, 47년 만에 찾아간 파월교육대
  • 지요하
  • 등록 2017-07-10 10:58:54
  • 수정 2017-07-10 15:44:05

기사수정


‘월남참전자전우회’ 태안군지부(지부장 전풍용)는 지난 3일 전적지 견학으로 강원도 진동면 오음리를 갔다. 과거 제7보충교육단이 있던 곳이었다. 당시 7보단으로 불린 제7보충교육단은 파월교육대였다. 즉 지원을 했건 차출을 당했건 월남전에 참전하게 된 병사들이 4주 동안 교육을 받던 곳이었다. 


지금은 병사들의 막사들은 모두 없어졌고, 교육단 본부가 있던 자리에 기념관이 건립되어 있고, 연병장이 남아 있었다.


과거 이곳에서 교육을 받았던 태안군지부 회원들 중 80명이 이번 견학에 참여했다. 육군과 해군. 해병대 출신들이 함께 했고, 육군은 맹호부대, 백마부대, 십자성부대, 비둘기부대 출신들이 고루 참여했다. 또 나처럼 고엽제 후유증 중증 환자도 있고, 경도 환자들도 있지만, 고엽제와는 무관한 사람이 대부분이었다.


우리 일행은 오전 11시 쯤 오음리 월남 참전기념관 앞에 도착했다. 먼저 기념관 안으로 들어가 월남전의 실상이자 흔적이 될 수 있는 것들을 차근차근 둘러보았다. 


47년 전의 총성과 화약 냄새 속으로 


▲ 군복 차림 / 70나이에 오랜만에 군복을 입어보았다. 더 추레하고 늙어 보이는 것 같았다. 아내가 내 군복 옷깃에 세월호 배지를 달아 주었다. ⓒ 지요하


우리가 월남에서 사용했던 MI소총과 M16소총, 화염방사기, 수류탄과 수타식 조명탄, M60경기관총, 81밀리 박격포, 무반동총과 로켓포 등을 두루 볼 수 있었다. 혹시 베트콩들이 많이 사용했던 부비트랩과 우리 한국군이 야간 매복시에 꼭 설치했던 클레이모어는 없나 찾아보았으나 시간 낭비였다.


기념관 안에는 한국군의 전투장면과 병영생활, 월남의 마을, 월남인들의 생활 모습들이 고루 전시되어 있었다.


그리고 한곳에는 월남에서 전사한 5천8백여 명의 이름이 대리석 판에 새겨져 있었다. 나는 동네 친구 이름과 몇 명 전우들의 이름을 찾아보려고 했으나 쉽지 않은 일이었다.


일행 중 전사자들 이름 앞에 오래 머무는 사람은 없었다. 나는 우리 일행 모두가 전사자들 앞에 서서 잠시나마 묵념을 했으면 하는 생각이 목울대에 걸려 있었지만 다만 혼자 생각일 뿐이었다.


나는 잠시 한곳에 앉아서 월남전의 풍경들을 떠올려보았다. 한 새벽 매복지역에서 철수를 하던 중 베트콩으로 오인한 다른 한국군 매복 부대의 클레이모어에 피습 당한 처참한 시신들을 수습하던 때의 살 떨리던 기억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다.


또 백마부대 209 이동외과병원 영현실 앞에 누워 있던 시신들, 하얀 시트 위에서 바람에 속절없이 흔들리던 머리칼들을 떠올리기도 했다.


▲ 월남참전기념관의 모습 / 강원도 화천군 진동면 오음리, 옛 제7보충교육단의 자리에 있다. ⓒ 지요하


일행들은 모두 기념관 밖 기념탑이 있는 곳으로 가서 단체 촬영을 했지만, 나는 기념관 안에서 좀 더 추억 또는 비감에 젖는 바람에 해찰을 하여 기념 촬영에 참여하지 못했다.


그리고 나는 기념관 앞 연병장을 바라보며 47년 전의 부산하던 연병장 풍경을 떠올리며 한참 동안 우두커니 서 있기도 했다. 


우리 일행은 오음리의 한 음식점에서 점심을 먹은 다음 간동면 간척월명로에 있는 ‘한국수달연구센터’를 견학한 다음 귀로에 올랐다.


한 파월 전우의 세월호에 대한 인식


버스 안에서 대원들은 모두 거나해진 상태가 되어 신나게 노래들을 불렀다. 쉽게 들을 수 있는 대중가요들 사이사이에 군가도 끼어들곤 했다. 군가를 온전히 부르지 못할 때는 동료들이 거들곤 했고, 그렇게라도 끝을 볼 때는 환호와 박수가 쏟아지곤 했다.


영락없는 4, 50년 전의 군바리들이었다. 대부분 농사를 짓고 사는 농민들이거나 소상인들이었다. 4, 50년 전에는 대부분 베트남에서 정글을 긴 전투병들이었다. 틀림없는 베트남전쟁 전우들이었다. 야간 매복을 하고, 정글 속에서 수타식 조명탄을 쏘아 올리고, 소총 사격에 앞서 수류탄과 클레모아를 터뜨리던 병사들이었다. 


소총병이었던 나와는 달리 중화기 요원으로서 무반동총을 쏘거나 박격포탄을 쏘아올린 병사들도 있을 터였다. 또 일행들 중에는 부비트랩 파편을 맞았거나 포탄 파편을 맞아 피를 흘리면서 숨이 넘어가는 고통을 겪다가 살아난 사람도 있을 터였다.


그런 생각들을 하자니 나는 월남참전전우회 일행들이 더욱 정답게 느껴졌다. 월남 전장에서 함께 생활했던 사람은 아무도 없지만, 종종 박격포탄이 날아오던 홈바 산 아래 공수기지 벙커 안에서 함께 C레이션을 까먹고 빈 깡통으로 커피와 코코아를 타 마시던 전우들이었다.


그런데 정답던 전우애가 한 순간 와그르 무너지는 사건 아닌 사건이 발생했다. 사실은 내가 아까부터 어떤 예감 같은 불안감 속에서 긴장을 하고 있던 일이었다.


내 상의 옷깃에 달린 세월호 배지 때문에 생긴 일이었다. 아침에 실로 오랜만에 군복 조끼를 착용하니 아내가 옷깃에 세월호 배지를 달아주었다.


세월호 배지를 보고도 뭐라 하는 사람이 없는 것 같았는데, 점심을 먹고 났을 때 끝내 한 사람이 의문을 표했다.


왜 그런 걸 달고 다니느냐는 소리였고 자못 시비조였다. 나는 당황하지 않고 차분한 어조로 설명을 해주었다. 설명을 하면서도 그가 이해를 하리라고는 기대하지 않았다. 이해를 못하면서도 그가 더 이상 말을 하지 않아 나는 곤란한 국면을 넘어갈 수 있었다. 


▲ 파월교육대 연병장 / 옛날 월남에 가기 위해 4주 동안 매일 밟고 뛰었던 연병장의 모습, 당시엔 없었던 풀들이 많이 나 있다. ⓒ 지요하


그런데 그가 달리는 버스 안에서 여러 사람이 들을 수 있을 만큼 큰소리로 나를 비난했다. 일행들이 노래를 그쳐 다소 소강상태, 조용해진 상황이었다. 그 시간을 틈타 그는 세월호 배지를 비난했다. 수학여행을 가다가 죽은, 일종의 교통사고 희생자들에게 국가가 나서서 엄청난 규모의 보상을 해주었는데도 왜 계속 세월호를 기념하자고 하는지 이해를 할 수가 없다는 얘기였다. 


그는 계속 이런저런 소리로 떠들어대었다. 다행히 동조하는 사람은 없었다. 동조하는 사람이 없어서 그가 더욱 떠드는 것인지도 몰랐다.


나는 인내심을 발휘했다. 굳건히 침묵했다. 조목조목 설명할 수 있는 말은 내 머리에 가득했지만 나는 수고하는 것을 피했다. 한두 마디로 설명을 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꽤 많은 언어 동원이 필요한데, 그가 인내심을 갖고 들어주지도 또 이해를 해줄 리도 만무했다. 내가 한마디 하면 말허리를 자르고 열 마디 백 마디를 하려고 들 터였다.


나는 끝까지 인내했다. 내가 못 들은 척 침묵하는 것이 버스 안의 일행들에게 의연함 같은 것으로 비쳐지는지 일행들도 끝까지 침묵을 지켰다. 


그 침묵 속에서 나는 문득 지역신문 지면을 떠올렸다. 지역신문 지면에 내가 지금도 세월호 배지를 달고 다니는 이유를 자세히 설파한 다음 그 신문을 그 사람에게 보내주자는 생각이었다. 나는 혼자 고개를 끄덕였다. 그것으로 위안이 되는 것 같았다.


장애인의 월남 전적지 방문에 대한 꿈 


▲ 한국수달연구센터 / 귀로에 잠시 들러보았다. 수달을 보지는 못했다. ⓒ 지요하


우리 일행은 저녁 6시쯤 태안에 도착했다. 한 회원이 운영하는 음식점에서 80여 명이 함께 저녁식사를 했다.


나는 전풍용 지부장과 자리를 함께 했다. 남다른 전우애와 사명감으로 지부를 위해 헌신하고 있는 전 지부장은 나와 자리를 함께 하는 것이 즐거운 모양이었다. 그는 여행 중 내내 내게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곤 했다. 그는 내게 그 동안 10여 차례 지부 회원들을 인솔하여 월남을 다녀왔노라고 했다. 월남의 옛 병영이 있던 곳들과 전투지역들을 둘러보고, 이름 있는 관광지들을 모두 가보았노라고 했다.


나는 그가 부러웠고 또 부끄러웠다. 1971년 월남에서 돌아온 이후 지금까지 한 번도 월남을 가보지 못한 내가 비참할 정도로 한심하기도 했다.


전풍용 지부장은 아직 한 번도 월남을 가보지 못한 전우들이 있어 한 번 더 월남에 가볼 생각이라고 했다. 나는 즉각 찬동하며 나도 함께 하고 싶다고 했다. 


그리고 나는 월남전참전우회 태안군지부가 10여 차례 월남에 가는 동안 한 번도 배우자들을 동반하지 않았음을 확인하고 이번에는 배우자들을 동반하는 쪽으로 계획을 세워보기를 권했다. 평생의 동반자와 함께 군대 시절의 월남전 작전지를 돌아보는 것에 대한 의의를 설명하기도 했다.


내가 그러는 데에는 또 하나의 뜻이 있었다. 나는 고엽제 후유중의 확대로 지난해 신장 기능을 잃어 현재 복막투석을 하며 어렵게 살아가는 신세이기 때문이었다. 즉 복막투석 환자로서 쉽지 않은 외국 여행을 하려면 아내를 동반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이었다. 여기에는 월남 전적지 여행을 같이 하게 될 경우 장애인과 배우자에 대한 전풍용 지부장의 각별한 배려를 은근히 기대하며 미리 운을 떼는 뜻도 있었다. 


나는 비록 신장 기능을 잃은 장애인일망정 아내와 함께 군대 시절의 월남 전적지들을 48년 만에 가보는 소망을 가슴에 안으며 아울러 전풍용 지부장의 결단을 소망하기로 했다.











[필진정보]
지요하 : 1948년 충남 태안 출생. 198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중편소설 <추상의 늪>이, <소설문학> 신인상에 단편소설 <정려문>이 당선되어 등단함. 지금까지 100여 편의 소설 작품을 발표했고, 15권의 저서를 출간했음. 충남문학상, 충남문화상, 대전일보문화대상 등 수상. 지역잡지 <갯마을>, 지역신문 <새너울>을 창간하여 편집주간과 논설주간으로 일한 바 있고, 향토문학지 <흙빛문학>과 <태안문학>, 소설전문지 <소설충청>을 창간함. 공주영상정보대학 문창과 외래교수, 한국문인협회 초대 태안지부장, 한국예총 초대 태안지회장, 태안성당 총회장을 역임했고, 현재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충남소설가협회 회장, ‘정의평화민주 가톨릭행동’공동대표로 활동 중.
TAG
키워드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가스펠툰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