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에 시행된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부터 ‘한국사’가 선택이 아닌 ‘필수과목’이 되었다. 한국사는 2004년 수능에서 선택 과목이 된 이후, 2015년 전체 응시자의 단 6%만이 한국사 시험에 응시했지만 2016년 수능부터는 필수과목이 되면서 한국사 시험을 보아야만 수능 성적표가 나오게 됐다.
올해로 한국사가 수능 필수 과목이 된 지 3년이 됐다. 보다 많은 학생들이 한국사를 접하게 되었지만, 필수 과목화로 해결되지 않는 우리나라 역사 교육의 한계는 여전히 남아있다. 국정 교과서 사태 이후 불거진 올바른 한국사 교육에 대한 논의가 여전히 뜨거운 지금, ‘필수과목’ 한국사라는 한국사 교육의 성과 뒤에 아직도 남아있는 문제들은 무엇일까.
필수 과목 첫 해, 한국사 교육의 허울뿐인 성장
2016년은 한국사가 다시 수능 필수 과목이 된 첫 해였기 때문에 교육 현장에서 다소 혼란이 있었다. 다른 과목이 빠지지 않은 채 한국사 과목이 추가된 것이었기 때문에 많은 학생들에게 부담이 되었다. 그러나 수능의 난이도를 가늠할 수 있는 6월 모의고사를 본 이후에 상황이 달라졌다.
한국사 시험이 상대 평가에서 절대 평가로 바뀌었을 뿐만 아니라, 교육부의 지침에 따라 이전에 비해 난이도가 매우 낮아졌기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높은 등급을 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그 결과 학생들은 학교 수업에서 한국사 공부에 신경을 쓰지 않게 되었고, 수업 또한 열의가 낮아졌다. 한국사를 공부하는 학생 수는 많아졌지만, 한국사에 대한 관심까지 높아지지 못한 것은 무엇보다도 양적인 성장에 맞는 효과적인 수업 방식과 교재의 변화가 뒤따라오지 못했기 때문이다.
늘어난 수업 시수, 하지만 수박 겉핥기
앞서 말한 한국사 시험의 낮은 난이도보다 심각한 문제는 수박 겉핥기식의 수업 방식이다. 2015년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르면 고등학교의 한국사 수업 시수는 연간 102시간에 달하여 국사가 선택 과목인 일본은 물론이고 우리와 같이 국사가 필수 과목인 나라와 비교해도 많은 편이다.
문제는 다른 선진국에서 국사를 주제별로 가르치거나 아예 시대별로 과목을 나누어 수업하는 것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전 시대를 포괄한다. 따라서 수업에서 시대의 맥락에 대한 설명 없이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사건들을 암기할 수 밖에 없다. 또한 비교적 자세히 서술되는 근현대사와는 달리 전근대사, 특히 고대사는 내용이 빈약하고 시험에 몇 문제 나오지 않아 자세히 수업하지 않게 된다.
이같은 교육 범위는 시험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예를 들면 수능시험 문제에 젼혀 등장하지 않는 시대가 생기는 것이다. 수능 문제로 출제되는지 여부가 수험생들에게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을 감안하면 역사 교육의 한계는 고스란히 짐작할 수 있다. 맥락과 흐름으로 이해할 수 없는 역사는 현재와 ‘끊임없는 대화’를 하며 교훈을 얻고 미래를 전망하는 매개체가 아닌 단편적인 지식으로 머무르기 쉽다.
‘정부의 입맛’에 맞는 한국사만 ‘필수적’으로 배워라?
‘필수과목’ 한국사의 태생적인 한계는 이를 실행한 정부의 ‘정치적으로 왜곡된 의도’다. 정부는 일련의 한국사 교육 개편을 6·25전쟁에 대한 학생들의 무지와 중국의 역사왜곡에 대한 대응이라고 주장했지만, 이는 한국사 교육을 정치적 목적에 대한 수단으로 삼고 통일된 역사관을 강요하여 학계의 자유로운 역사 해석을 억제하기 위한 변명에 지나지 않는다.
박정희 유신 체제에서 정권의 입맛에 맞는 반공, 자민족 중심적 국정사관을 강요하기 위해 대학 예비고사에서 한국사를 필수 과목으로 지정하며 교과서를 국정화했던 것처럼, 박근혜 정부의 역사 교육 강조도 정부 중심의 편향된 시각을 학생들에게 주입하려던 왜곡된 목적이 있었던 것이다.
‘암기 한국사’를 넘어서
한국사는 학생들에게 대표적인 ‘암기 과목’으로 불린다. 역사적 사건을 배우면서 그 내용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단순한 나열에 그쳐 학생들이 나름대로 역사를 해석할 여지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단지 수업의 시수를 늘리고 수능시험 필수 과목으로 선정하는 것만이 한국사 교육을 강화하는 길은 아니다.
한국사 교육에 자유로운 역사 해석이 담보되지 않고 단편적인 지식을 쌓는 수동적인 교육으로 남는다면, 편향된 이념을 전파하는 도구가 되어 학생들이 객관적인 시각으로 우리 역사를 바라보지 못하게 할 위험이 있다. 지금은 학생 중심의 자율적이고 적극적인 한국사 교육을 시작해야할 때다.
안중근청년기자단 - 최낙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