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치스코 교황은 3일, 교황청 사회과학 학술원(Pontifical Academy of Social Sciences, 학술원장 스테파노 자마니 교수) 정기총회 참석자들과 만나 민족 또는 국가의 정체성을 ‘남들을 배격하는 기준’으로 삼는 사회의 위험성에 대해 강조했다.
지난 1일에 시작해 이날까지 사흘간 진행된 이번 정기총회는 “민족, 국가, 민족국가”를 주제로 진행됐다.
국가는 주로 경제적 이익을 이유로 지배 집단의 이익에 굴종하며, 이로 인해 소수 민족, 언어, 종교가 탄압 당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정기총회 참가자들을 맞으며 오늘날 전 세계에 민족 국가들이 협동보다는 배척의 정신으로 관계를 형성하거나 “국가의 경계와 민족의 경계가 일치하지 않거나 국가가 자기 주권을 과도하게 주장한 탓에 일어나는 수많은 대치 상황에 주목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교황은, “교회는 언제나 자기 민족과 국가를 사랑하며, 다양한 문화양식과 관습이라는 유산을 비롯해 민족에 뿌리내린 생활방식을 존중하라고 권고함과 동시에 이러한 애착이 배척과 타인에 대한 혐오가 되거나, 나아가 인종차별 또는 반유대주의가 되는 탈선을 주의하라고 경고해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오늘날 전 세계 곳곳에서 외국인, 특히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 폭력의 흐름이 다시 나타나고 있다”고 우려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너무나도 자주 국가는 주로 경제적 이익을 이유로 지배 집단의 이익에 굴종하며, 이로 인해 소수 민족, 언어, 종교가 탄압을 당한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한 국가가 이민자를 수용하는 방식은 국가의 인간존엄에 대한 시각과 인류와의 관계를 드러내준다”며 이민자를 마냥 배척할 것이 아니라 얼마나 문화와 어우러지게 수용하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민자는 수용국 문화, 관습 그리고 가치를 위협하는 존재가 아니다.
교황은 다시 한 번 이 같이 선언하며 이민자들을 수용국 문화에 사회화하는 것은 “이들을 (수용국 국민에) 동질화 시키는 것이 아니라, 이들이 새 조국의 생활양식에 동참하되 자기만의 역사를 지닌 한 인간으로서 존재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초국적 공동선이 식별되면, 이 공동선의 실현을 도울 수 있는 특수한 권한을 사용해야 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이민 문제를 비롯해, 인권, 다양한 형태의 인신매매, 기후변화 및 평화와 같은 “초국적 공동선이 식별되면, 이 공동선의 실현을 도울 수 있는 특수한 권한을 사용해야 한다”며 여러 국가들이 한데 모인 국제기구(multilateral instances)가 “복수, 지배, 탄압, 분쟁의 논리를 대화, 중재, 타협, 조화, 인류 소속감의 논리로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상기시켰다.
결국, “국가는 더 많은 책임을 지라는 부름을 받고 있는 셈”이라면서 “독립성과 주권을 유지하고 국민들의 선을 추구해가되, 세계적 균형의 필수 요소인 인류의 공동선을 세우는데 참여하는 것 역시 국가의 몫”이라고 강조하며 “이러한 보편적 공동선 역시 국제적으로 더욱 명확한 법적 지위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