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우리는 서구중심 사상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 이기상
  • 등록 2019-12-02 10:38:05
  • 수정 2019-12-02 10:50:58

기사수정


‘태양을 꺼라!’ 서구중심 사상 비판 : 태양의 빛은 우주의 거대한 암흑에 비하면 깜빡이는 촛불과 같다.


< 태양을 꺼라! >라는 화두는 다석이 직접 외친 말은 아니지만 서구사상에 대비해서 다석 사상을 가장 극명하게 부각시킬 수 있는 문구이기에 표제어로 삼았다. 앞에서도 강조했듯이 서양사상은 눈앞의 존재를 강조하는 현전의 형이상학, 이성으로 어둠의 세력을 내모는 계몽의 변증법, 인간의 지배 의지를 무조건 관철시키려 드는 의지의 현상학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자기 문화만을 중심권으로 인정하고 다른 모든 문화는 주변문화로서 계몽되어야 하고 선교되어야 할 것으로 간주하고 있는 철저한 < 서양중심 사상 >이다.


상호문화성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며 대화를 꾀하는 철학적 노력은 구체적인 상대주의를 진지하게 받아들여 어떤 특정의 형이상학, 종교, 문화, 논리학, 윤리학 등을 절대화시키려는 경향을 멀리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제 더 이상 유럽 철학의 보편적 요구주장은 그전처럼 의심의 여지가 없는 것으로 통용될 수는 없다. 이제 문제가 되는 것은 유럽 철학을 한 문화의 철학으로 ― 그럼에도 자신을 유일한 보편적 · 포괄적 철학이라고 자처해온 그런 철학으로 ― 이해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엘리아데는 이렇게 말한다. “만일 유럽의 민족들이 더 이상 역사를 ‘만드는’ 유일한 민족들이 아니라면, 그들의 정신적 문화적 가치들도 더 이상 특권을 부여받은 것으로 남아 있지 못한다. 하물며 의심의 여지가 없는 권위는 말할 것도 없다.”


인도의 철학자이며 시인인 타고르는 문화적 다양성을 신이 그렇게 원한 것으로 보고 낯선 문화를 자기 것으로 만들려는 이념 자체를 거부한다. 그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만일 그러한 파국이 인류에게 덮쳐, 오직 하나의 종교만이[또는 오직 하나의 문화나 철학만이] 모든 곳에 차고 넘친다면, 신은 그의 피조물들을 그러한 정신적 파멸에서 구하기 위해 두 번째로 노아의 방주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다양한 문화 간의 상호 문화적인 열린 수용과 배움의 대화를 강조한 사람으로 우리는 현대 서양 철학자의 한 사람인 야스퍼스를 들 수 있다. 그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모든 인간은 오직 자신의 역사적인 형태로써만 철학을 소유하고 있으며, 이 역사적인 형태는 ― 그것이 참인 한 ― 그 자체 어느 누구의 소유가 될 수 없는 구원의 철학의 한 표현이다.”



이제 오직 태양의 밝은 빛 아래서 나타나고 있는 것만을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이성의 빛 안으로 들어올 수 있는 것만을 <현실>인 것으로 사유해온 서양사상을 한 마디로 <빛의 형이상학>이라고 보며 <태양 빛을 끄라!>고 외치고 있는 다석의 생각을 뒤밟아 보자. 다석은 태양의 빛이 우주의 거대한 암흑에 비하면 깜빡이는 촛불과 다를 바 없음을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


“태양(太陽)이 크다고 ‘클 태(太)’를 씁니다만 ‘큰 대(大)’에 점을 하나 찍고 한 번 더 크다는 뜻으로 이렇게 씁니다. 엄청나게 크다고 태양이라고 하는데, 무엇이 그렇게 엄청나게 크다는 말입니까? (···) 우리가 언제 빛이라는 것이 있어서 완전한 빛을 보았습니까? 기껏 태양 하나, 큰 불덩어리를 가리켜 빛이라고 하는 것입니까? 그렇다면 저 산에 해가 지면 왜 캄캄해집니까? 무슨 빛이 얄팍한 구름 한 점에 가려져도 금세 캄캄해집니까? 광명이 흑암(黑闇)을 쫓는 것을 보았습니까? 우주를 생각해보십시오. 우주는 호대한 암흑입니다. 태양이 엄청 크다고 하고 그 밖의 발광체도 많지만, 우주의 어두운 것을 쫓아냈습니까? (···) 갇힌 몸으로 생각하니까 그 정도밖에 생각이 안 됩니다. 정말 진리인 하느님이 베푼 말씀으로 보면 우리는 광명을 결코 본 일이 없습니다. 대부분 흑암 속에서 아물아물합니다. 흑암이야말로 큰 것입니다. 태양은 큰 게 못됩니다. 그러한 망발이 어디 있습니까? 그래서 호대한 것은 흑암이요 광체(光體)는 미미한 것이라 하였습니다.”


거대한 우주의 먼지에 불과한 태양계에 살면서 그 태양을 유일한 빛으로 여기며 그 빛 아래에서 볼 수 있는 것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서양인의 눈에는 그 무한한 빈탕한데가 보일 수 없으며 그 빈탕한데에 없이 계신 하느님 또한 볼 수 없었다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귀결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래서 다석은 태양 빛 아래에서 하느님을 찾을 생각일랑 말고 어둠 속에서 하느님과 교통하라고 충고한다.


“하느님이 있다면 그 호대(浩大)한 흑암을 음미하는 가운데 있습니다. 광명 속에는 하느님을 찾아볼 수 없습니다. 광명은 허영이요, 이 허영 속에서는 하느님을 찾아볼 수 없습니다. 흑암을 음미하는 가운데 하느님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사람은 광명에서 신을 찾는다고 하는 것을 뒤집어서 흑암에서 신을 봅니다.” 


다석은 무에서 유가 유래하고, 무 없이 존재가 있을 수 없음을 이렇게 서술한다. 


“아주 빈 것[絶代空]을 사모한다. 죽으면 어떻게 되나. 아무 것도 없다. 아무 것도 없는 허공이라야 참이 될 수 있다. 무서운 것은 허공이다. 이것이 참이다. 이것이 하느님이다. 허공 없이 진실이고 실존이고 어디 있는가. 우주가 허공 없이 어떻게 존재할 수 있는가. 허공 없이 존재하는 것은 없다. 물건과 물건 사이, 질과 질 사이, 세포와 세포 사이, 분자와 분자 사이, 원자와 원자 사이, 전자와 전자 사이, 이 모든 것의 간격은 허공의 일부이다. 허공이 있기 때문에 존재한다.”


태양계가 아닌 너른 빈탕한데에 사는 우주인으로서 다석은 태양보다는 우주의 숨소리에 더 관심을 쏟았음을 이렇게 말하고 있다.


“천문학자에게는 낮이란 별로 가치가 없다. 우주의 신비를 캐려는 사람에게는 어떻게 하면 저 태양을 가릴 수 있을까 하고 바란다. 별의 영원과의 속삭임을 더 많이 듣고 알고 싶어서일 것이다. 영원과 늘 같이 있고 싶은데 낮이 있으므로 해서 단절되곤 한다.”


어둠 속에서 없이 계신 하느님과 교통하는 것을 유일한 자신의 사명으로 알았던 류영모는 자신의 호를 <다석(多夕)>이라고 정하며 그 변을 다음과 같이 술회하고 있다.


“어둠을 싫어하기보다 빛에 혹함이 많았던 탓이었다. 무사(無私)만 하고 보면 암흑이나 사망의 두려움이 없다. 빛을 기(忌)함은 사람의 것을 도적하는 자이지만 어둠을 기(忌)함은 하느님의 것을 도적하는자(생명을 私有하는 자)이다. 사람들은 흔히 대낮에는 살림을 위해서 다니고 일하고·배우고·놀고 밤에는 그것을 위해 쉬고·잠자고·꿈꾸는 것으로 안다. 이것은 대단히 위험한 생각이다. 밝은 것이 있는 뒤에는 크게 잊어진 것이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그것은 은연중에 통신으로써 밤중에 희미한 빛으로 태양 광선을 거치지 않고 나타나는 우리의 삶에 가장 중요한 영혼과의 통신이다. 우리는 이것을 망각하고 그저 잠이나 자고 있다.


한 낮에만 사는 것을 사는 것이라고 하는 것은 정신없는 소리다. 빛을 가리어 살 줄 아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대낮에 영원과 사귀겠다는 것은 허영이다. 우리가 정말 밝게 사는 것은 영원과 통신할 수 있는 데에로 나아가는 것이요, 영원의 소리를 빨리 들을 수 있는 데로 나아가는 것이 아니겠는가. 한 낮의 밝음은 우주의 신비와 영혼의 속삭임을 방해하는 것이다. 낮에 허영에 취해서 날뛰는 것도 모자라 그것을 밤에까지 연장하여 불야성을 만들려는 것은 사실은 점점 어두운 데로 들어가는 것이다. 영원과의 통신이 끊어지기 때문이다. 그건 인생을 몰락시키는 것밖에 아무 것도 아니다. 낮보다 더 밝게 하는 길은 바로 이 길이다. 보이는 것이 빛이 아니다. 햇빛·달빛·별빛 다 본들 뭐가 시원한가. 우리는 우주의 영원한 소식을 받아들이고 숨은 길로 들어서는 것이 정말 우리가 위로 올라가는 길이다. 하느님은 사랑이시나 사랑이 하느님이 될 수 없음 같이 하느님은 빛이시나 빛이 하느님은 아니다. 흔한 사랑이 치미(痴迷)를 일으키고 여러 가지 빛은 허영을 꾸미도다. 암흑을 타는 소적(小賊)이 있지만 광색(光色)을 쓰는 대간(大姦)이 많도다. 불을 위하고 해에 절한 일이 있다지만 그것은 잘못이다. 


(···) 불은 바래진 세상의 한 때 자랑이다. 창세기에 ‘(먼저) 저녁이 있고 아침이 있다’고 하였고, 묵시록에 ‘새 하늘과 새 땅에는 다시 햇빛이 쓸데없다’하였으니 처음도 저녁이요, 나중도 저녁이다. 처음과 나중이 한가지로 저녁이로다. 저녁은 영원하다. 낮이란 만년을 깜박거려도 하루살이의 빛이다. 이 영원한 저녁이 그립소이다. 파동이 아닌 빛 속에서 쉼이 없는 쉼에 살리로다.”


대낮이란 촛불 태양이 흔들리는 곳이요, 수많은 별빛은 못 보는 세계다. 자연만 그런 것은 아니다. 인간의 문명도 촛불 문명이요, 육의 문명이요, 죄의 문명이다. 모두 난반사요, 진물 나는 허영의 문명이니 촛불이 꺼지듯이 멸망할 문명이다. 밤의 우주는 칠흑 같은 밤이요, 지척을 분간할 수 없으나 억만 광년 먼 별이 반짝이고 있다. 어둠 속에 영원히 빛나는 별이다.


그러니까 촛불에 가려져서 별빛을 놓치지 말고 거짓 문명에 가려져서 참 문명을 놓치면 안 된다는 것이다. 참 문명은 명도(命道) 정신문명이요, 하느님의 은밀한 밤세계 별세계 은도(隱道)의 세계다. 이 별세계를 정관(貞觀)하라. 그리하여 직진(直進) 미광(微光) 정직하게 사는 올바른 정신이 되라. 가온찍기 진리를 깨달은 정신이 되라. 태양의 빛 때문에 정신의 별길을 막지 말고 정신의 숨길로 들어가는 참빛, 영의 빛을 정직하게 따라가 보라.


다석 사상의 철학사적 의미 : 존재중심의 사유를 벗어나 ‘참나’로서 하늘과 땅, 신적인 것과 더불어 살아가는 길



지금까지 말한 것을 다석 류영모의 사상이 지니고 있는 정신사적 · 철학사적 의미에 비추어 종합 요약해 보기로 하자. 우리는 다석 사상에서 현대 인류를 옥죄고 있는 수많은 문제들이 해결될 단초를 찾아낼 수 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신이 떠나버린 칠흑 같은 어둠의 현 시대에 신이 도래할 수 있는 <성스러움>의 영역을 예비할 수 있는 여지를 다석 사상이 마련하고 있다. 성스러움과 어떻게 교통할 것인지를 스스로 실천하여 새로운 영성의 길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그로 인해 인간이 자신의 생활세계에서 내몰았던 <신적인 것>을 되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으며, 철두철미 세속화된 삶에 신적 차원이 들어설 수 있는 활동공간을 열어 놓았다. 신에 대한 인간의 실존적 관계맺음을 새롭게 정립함으로써 새로운 종교성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셋째, 최고의 척도, 흔들릴 수 없는 지반으로 통용되어 오던 <이성>의 독재와 횡포에 제동이 걸리게 되었다. 이성이, 아니 인간이 지닐 수밖에 없는 시간적·공간적 제한이 부각되며 <인간중심적> 시각이 갖는 한계를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인간이 <사이 존재>임을 강조하여 하늘과 땅, 그리고 신성과 맺는 관계의 사이를 통해 인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열어준다.


넷째, 이성에 의한 진리발견, 언어에 의한 진리표명에만 관심을 두어 왔던 <서양의 정신사>가 일면적임을 지적하고 다른 문화권에서 일어나고 있는 존재사건, 진리사건에도 주목하도록 촉구하였다. 한국적인 사상적 대안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다섯째, 이성의 빛 안에 들어오는 것만을 존재 내지 존재자라고 규정하며 그 밖의 모든 것을 무(無)의 심연으로 던져버린 <존재중심의 사유>를 비판하며 존재의 유래로서의 없음[無, 空, 虛]에 더 큰 비중을 두어 철학사에 획기적인 사유의 전환의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여섯째, 물질과 쾌락에서 <자기 동일성>을 찾는 현대인의 잘못된 인생관을 철저히 비판하며 새로운 자아론에 입각하여 <참나>를 찾아가는 길을 마련하였다. 몸나에 사로잡히지 말고 맘나에 마음을 빼앗기지 말고 얼나로 솟나 하늘과 땅 사이에서의 제긋을 다해야 하는 인간의 사명이 강조되고 있다. 오로지 육체만이 자신의 전부인 줄 알고 육체에 탐닉해 살고 있는 현대인에게 새로운 <자기 정체성>을 일깨워 준다.


일곱째, 환경문제, 생태문제로 골머리를 썩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우주론>을 제시해 줌으로써 우주와 더불어 하나가 되어 살아나갈 수 있는 방법을 보여준다. 하늘과 땅, 신적인 것과 더불어 <한아>를 이루면서 <한얼>과 하나-됨을 통해서 새로운 삶의 문법, 논리를 찾아나갈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여덟째, 지금 여기 이 땅에서 철학할 수 있는 가능성이 무엇인지를 밝혀주었으며 <우리말로 철학>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세계화의 추세 속에서 문화적 정체성을 잃어가며 다시 한 번 주변인으로 떨어져가고 있는 한국인에게 세계철학 속에 떳떳하게 자신의 철학을 정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보이고 있다.


아홉째, 전통 가치관은 붕괴되어버렸고 새로운 가치관은 아직 정립되지 못한 가치관 부재의 우리에게 서양에서 수입한 가치가 아닌 우리의 고유한 <근본가치를 정립>해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한 근본가치로써 현대가 필요로 하는 새로운 기본가치의 모색에 일조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끝으로 빛깔에 홀리지 말라는 다석의 경종에 귀를 기울여보자.


“우리는 소경입니다. 볼 줄 모릅니다. 우주가 있는 뜻을 모릅니다. 단지 태양광선만을 빛으로 알고, 그 빛을 좇는 데 정신이 없습니다. 말끔히 영광을 좇아 단지 거짓된 허영에 살 따름입니다. 해와 달, 저것이 있는 것입니까? 없습니다. 있는 것은 오직 ‘나’, 그 중에도 생각 이것뿐입니다. 항상 없는 것인데 문제는 ‘속알’입니다. 참을 이야기하는 것은 속알이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 다음 편에서는 ‘있음과 없음’에 대한 이야기가 이어집니다. 


▶ 지난 편 보기



⑴ M. Eliade, Die Sehnsucht nach dem Ursprung (근원에 대한 갈구), Wien 1973, 16.


K. Jaspers, Weltgeschichte der Philosophie. Aus dem Nachlaß (철학의 세계사. 유고정리본), hrsg. von H. Saner, München 1982, 20 이하.


유영모, 『다석강의』, 485/6.


유영모, 『다석강의』, 494.


류영모, 『다석어록. 죽음에 생명을 절망에 희망을』, 박영호 편, 홍익재, 1993, 161.


류영모, 『다석어록』, 29.


류영모, 『성서조선』, 1940년 8월호 통권 139호. 박영호, 『다석 류영모의 생애와 사상. 하권』, 69~71에서 다시 따옴.


류영모, 『명상록 제1권』, 311.


유영모, 『다석강의』, 다석학회 엮음, 현암사, 2006, 824.



TAG
키워드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가스펠툰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