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아오지 못한 영웅, 끝내 찾을 수 없는가 내가 죽은 뒤에 나의 뼈를 하얼빈 공원 곁에 묻어 두었다가 우리의 국권이 회복되거든 고국으로 반장(返葬)해주길 바란다. 나는 천국에 가서도 조국의 주권 회복을 위해 힘쓸 것이다. 만약 하늘에서도 조국 광복의 소식을 듣는다면 나는 혼령들과 함께 덩실덩실 춤을 추며 만세를 부를 것이다. 2017-09-04 장유정
-
[영상] 당신은 ‘통일’이 되기를 원합니까? ‘우리들은 통일을 원하는가?’이 시대, 진정한 통일을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함께 고민하기 질문을 던져봤다. 2017-09-04 박지민, 전다현
-
[카드뉴스] 답은 ‘통일교육’에 있다 현재 시행되는 통일교육은 ‘분단체제 심화 교육’이라는 사실, 생각해 보신 적 있나요? 2017-09-01 안중근 평화기자단
-
안중근 의사가 100년을 기다려야 했던 이유 세상에는 정해진 규칙이 있다. 어떤 이들은 글자 그대로 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규정을 내세운 폭력도 있다. 규칙에 얽매여 본질을 들여다보지 않으면 목적을 잃는다... 2017-08-31 이정원
-
대를 이어 안중근 의사를 섬긴 일본인, 치바 도시치 “나라를 위해 몸을 바치는 것이 군인의 본분이다” 이는 안중근 의사가 사형 집행 전날, 자신의 간수였던 일본 헌병 치바 도시치에게 써준 유묵이다.1909년, 안중근 의사는 조선 통감이었던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하고 중국 뤼순 감옥에 수감된다. 당시 치바 도시치는 안중근 의사에게 분노하던 평범한 일본인이었다... 2017-08-30 신혜리
-
애국선열 묘역 효창공원, 그저 공원으로 괜찮은가 안중근 의사는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1등급) 서훈자다. 그러나 안 의사의 가묘는 현충원 국립묘지가 아니라 효창공원에 마련돼 있다. 효창공원의 원래 이름은 효창원 (孝昌園)으로, 정조의 원자인 문효세자와 의빈 성씨의 무덤이었다. 일제 강점기 때 서삼릉으로 강제 이장된 후 효창공원이 되었고 일본군의 숙영지와 비밀작전지로 사용됐다. 해... 2017-08-29 박효정
-
한국 선생님과 일본 선생님이 만나 역사를 가르칠 때 최근 극장가에서 화제가 된 영화 ‘박열’에서 일본인 가네코 후미코는 남편 박열과 함께 일본 제국주의의 폭력에 저항한다. 국적을 초월해 조선의 독립운동에 헌신한 것이다. 정부의 폭력을 거부하는 무정부주의자였던 그녀는 조국의 모순을 꿰뚫고 평화롭지 못한 세상에 맞섰다. 2017-08-28 이정원, 신혜리
-
영웅의 아들, 변절자의 삶을 선택하다 ‘시모시자(是母是子)’. 그 어머니에 그 아들. 이는 안중근의 어머니 조마리아 여사와 안중근 의사의 모습을 비유할 때 쓰는 표현이다. 안중근 의사는 1909년 10월 26일 하얼빈 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해 현장에서 체포되었다. 보통의 어머니라면 옥중에서 사형선고를 받은 아들에게 어머니로서 할 수 있는 게 무엇이었을까. 조마리아 ... 2017-08-25 장유정
-
[카드뉴스] 6·15 남북공동선언을 아시나요? 통일은 꿈이 아니라, 눈 앞에 현실입니다. "역대 정권의 남북합의를 남북이 함께 되돌아 가야 할 원칙으로 대할 것" 2017-08-04 안중근 평화기자단
-
청년의 눈으로 ‘통일’을 말한다 지난 6월 15일 문재인 대통령은 ‘6·15 남북정상회담 17주년 기념 학술회의 및 기념식’에 참석했다. 2005년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현직 대통령이 참석한 것은 12년 만이었기에 화제가 됐다. 기념식 축사 역시 주목을 받았다... 2017-08-02 안중근 평화기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