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제주4·3에 미국은 사과하라”…10만인 서명 전달 제주4·3희생자유족회·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미 대사관에 서명 전달 강재선 2018-11-01 14:30:36
  • 폰트 키우기
  • 폰트 줄이기


▲ 31일, 주한미국대사관 맞은편에서 제주 4·3에 대한 미국 책임 촉구 10만인 서명 전달식이 열렸다. ⓒ 강재선


제주4·3은 미국이 3년간 한국을 통치하며 발생한 사건이며 그 기간 동안 벌어진 진압 과정을 미군정이 주도했다고 본다.


31일 오후 주한 미국대사관 건너편 광화문 광장 세종대왕상 앞에서 제주4·3에 대한 미국의 진정성 있는 사과와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10만인의 서명 전달식이 열렸다. 


제주4·3희생자유족회와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및 범국민위원회가 주최한 이번 행사에서는 사과와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서명 전달 외에도 시민들에게 제주4·3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한 여러 퍼포먼스가 열렸다. 

이번전달식에서는 ▲제주4·3학살에 대한 미국의 책임 인정 및 유족, 제주도민에 대한 사과 ▲미국, 한국 정부 및 시민사회가 참여한 미군 책임에 관한 제주4·3학살 전수조사 ▲전수조사 결과에 상응하는 피해회복 조치 시행을 요구했다.


오임종 제주4·3희생자유족회 회장 권한대행은 개회사에서 “3만 명이 죽어야 할 원인 제공은 미국이 한 것”이라며 “3만이 죽은 책임을 인정하고 미 당국이 공적으로 사과할 것을 요구한다. 그리하여 한미간 새로운 역사를 써나가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제주4·3에 대한 미국 사죄 촉구 운동은 2017년 10만 서명운동을 결의하고 지난 30일까지 109,996명(약 10만 5천명은 직접 서명, 5,000명은 온라인 참여)이 서명에 참여했다.


▲ ⓒ 강재선


김춘보 4·3유족회 호남위원장은 불법 군사재판으로 형무소에서 희생된 자신의 할아버지와 아버지 이야기를 하며 “제주4·3은 미국이 3년간 한국을 통치하며 발생한 사건이며 그 기간 동안 벌어진 진압 과정을 미군정이 주도했다고 보기 때문에, 나는 미국이 책임져 사과와 보상을 해야한다는 소명의식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4·3의 역사를 배워 평화와 인권의 제주를, 평화와 인권의 한반도를 만들어야 한다.


이어서 마곡중학교와 강서중학교 교사와 학생이 발언에 나섰다. 특히 학생 대표로 발언한 서지혜 강서학생자치연합 회장은 “작년 10월 제주4·3을 처음 알게 되었다”면서 “친구들도, 주변 어른도 잘 알지 못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서지혜 회장은 “이러한 슬픈 역사를 알지 못했던 것이 부끄러웠다. 많은 학생들과 제주4·3을 나누고 알려야겠다“는 다짐을 전했다. 


사회를 맡은 박찬식 범국민위원회 운영위원장은 미국의 책임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로 4·3진압 작전을 위해 미국사령관으로 파견된 로스웰 브라운 대령(Rothwell Brown) 발언을 인용했다. 


나는 (제주 4·3의) 원인에는 관심이 없다. 내 임무는 그저 진압하는 것일뿐이다” (I don’t care about the cause. My mission is to suppress only)


특히 주최 측에서는 이 발언을 이용한 퍼포먼스를 벌이기도 했다. 


이들은 미국의 반성을 촉구하기 위한 구호로 대사관을 향해 “미국은 제주 4·3학살을 책임져야 한다!”(The U.S. must take responsibility for the Jeju April 3rd massacre!)를 외치기도 했다.


▲ ⓒ 강재선


10만인 서명은 미국대사관 보안과를 통해 정치부 담당자에게 전달됐다. 강호진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집행위원장은 “길 건너인데도 이 종이 쪼가리가 뭐라고, A4 다섯 박스 전달하기가 이렇게 힘든 줄 몰랐다”고 탄식했다. 그러나 “진실규명을 위해 미국의 책임을 묻는 일은 끝이 아닌 시작”이라고 강조하며 미국의 사죄를 촉구하는 구호를 외쳤다.  


추후 활동 계획에 대해서 박찬식 운영위원장은 “내년 6월쯤 UN 본부에서 제주4·3평화재단이 주관하고 한국 유엔대표부가 주최하는 미국 책임 관련 컨퍼런스를 추진 중이다”라고 밝히며 “구체적인 날짜는 정해지지 않았으나 한국 유엔대표부가 주최하는 것으로 결정은 됐다”고 설명했다. 백 국제팀장은 이외에도 “진실, 정의, 배상, 재발 방지를 담당하는 UN 과거사특별보고관에게 제주4·3 관련한 청원 제출도 논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TAG
관련기사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