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공동체는 지구상에서 함께 살아가기 위한 새로운 방식을 추구하며 이는 새로운 사유방식과 새로운 이해방식을 요구한다. 인간은 하나로서 함께 살아가야 한다.
지난 2일, 폴란드 카토비체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UNFCCC COP24, 이하 COP24)와 함께 여러 종교 공동체들이 함께 참여한 탈라노아 대화(Talanoa Dialogue, 피지말로 이해당사자간의 포용적이고 투명하며 민주적인 대화를 뜻함)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종교 공동체들은 ‘평화’와 ‘정의’에 기반한 기후변화 정책과 행동을 촉구했다.
탈라노아 대화에 참여한 국제기후·종교·시민네트워크(Inter-religious Climate & Ecology Network, 이하 ICE 네트워크, 상임대표 이정배)는 이번 대화가 “지난 10월 한국 송도에서 IPCC(기후변화에 대한 정부간 패널)의 ‘지구온난화 1.5°C 특별보고서(Special Report on Global Warming of 1.5°C)가 발표된 직후 열리는 총회로써 2도 경로가 아닌 1.5도 경로로의 수정”을 위한 것이라며 “국제사회의 보다 과감한 기후행동에 대한 약속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종교 공동체와 시민사회의 가교이자 범아시아 플랫폼으로 활동해온 ICE 네트워크는 “인권과 커뮤니티에 기반한 기후행동지원, 지속가능한 미래로의 전환”을 위해 연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탈라노아 대화에는 가톨릭, 개신교, 유대교, 힌두교, 이슬람교 등이 참여했다.
가장 취약한 이들이 관심의 중심에 있어야 한다.
‘어머니 대지에 대한 존중, 생태계, 가장 취약한 공동체와 미래세대 보호’라는 제목으로 발표된 탈라노아 대화 결과 보고서에는 “많은 종교단체들이 개인적 생활과 공동체, 국가에서 지속가능한 농업과 지속가능한 생산 그리고 지속가능한 소비를 옹호해왔으며, 기후정의를 위한 윤리적, 도덕적 논의를 제기해왔다”고 지적하며 “사랑과 자비의 나눔에 대한 헌신의 상징으로써 이 일을 계속할 것”이라고 결의했다.
특히 2017년 6월에는 미국이 ‘온실가스를 감축해 지구온난화를 저지하고자 하는 파리협약’에서 갑작스럽게 이탈하는 등의 힘 겨루기와 경제적 경쟁이 이어졌다. 이로 인해 파리협약의 긍정적인 정신이 실종되고 있는 것을 우려하며 동시에 기후변화에 가장 많이 노출되어 있으나 가장 책임이 적은 이들에 대한 지원이 회피되고 있는 현실에 우려를 표했다.
탈라노아 대화에 참여한 종교공동체들은 기후변화를 위해 ▲국가결정기여⑴ 긴급 수정 ▲재생에너지에 대한 광범위한 투자 ▲삼림 보호 및 재식림 ▲개도국의 복원력 구축을 위한 기후재원 마련 및 기술이전 등을 목표로 설정했다.
경제는 소수의 건강하지 않은 부의 축적 대신 지구에 복무해야 하고, 지구의 자원을 재분배해야 한다.
이들은 “우리의 개인적, 공동체적, 국가적 삶에서 적응과 저감을 재정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종교공동체들은 “전 세계 인구 84%는 하나의 종교에 소속되어 있고 지구상의 거의 모든 주거지에 예배소가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며 “종교 공동체의 역할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또한 “종교공동체는 연대와 윤리의 정신, 보편적 인류애”를 요구한다면서 이는 “현재와 미래에 사는 사람과 생태계의 권리, 존엄성을 인정하는 것에서 출발한다”고 강조했다.
COP24는 지난 2일에 개막하여 15일에 막을 내렸으며 이번 회의는 2015년 파리협정 실행에 필요한 세부사항들을 결정하는 이행지침(rulebook)을 마련하는 자리였다. 파리협정의 핵심은 2030년까지 전 세계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을 50%로 감축시켜 기온 상승을 2도, 나아가 1.5도까지 제한하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미국과 중국이 전 세계 탄소배출량의 40%를 차지할 정도로, 국가경제 규모에 따라 불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개발도상국의 경우에는 절대량을 감축해야 하는 선진국들과는 감축 유형을 달리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해 선진국은 개발도상국에게 기술 이전, 재정지원을 해야 할 의무도 부담한다.
⑴ National Determined Contribution 또는 NDC.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분야별로 당사국이 취할 노력을 스스로 결정하여 제출한 목표를 말한다. 감축, 적응, 재원, 기술, 역량배양, 투명성 6개 분야를 포괄한다. (환경부, 「파리협정 길라잡이」, 2016/05)
- TAG